[투자신탁강좌] 투자신탁이란? 1
이 글은 https://www.morningstar.co.jp/moneyschool/fund/ 에서 投資信託ってなに?를 번역한 것입니다.
투자신탁이란?
투자신탁이란 무엇인가?
그렇기에 투자신탁은, 투자는 하고 싶지만 혼자서 많은 주식이나 채권을 살 만큼 자금이 없거나, 투자를 할 줄 모르니 전문가에게 맡기고 싶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초부터 주식이나 채권은 가치가 오를 수도 있으나 한편 가치가 떨어질 수 있는 위험도 있습니다. 투자신탁은 많은 투자금을 모아서 다양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합니다. 각각이 다른 가치 변동을 하므로, 많은 종류에 투자하면 분산 효과로 투자의 리스크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투자신탁의 메리트입니다.
투자신탁과 펀드는 어떻게 다른가?
펀드는 투자신탁 이외의 금융상품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펀드와 투자신탁의 가장 큰 차이는, 투자신탁은 행정의 감독을 받는 투자신탁위탁업자의 엄격한 감독 하에 운영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투자신탁의 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가?
표준가격은 투자신탁의 가격입니다. 그러나 이 표준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요?
(1) 투자신탁이 투자하고 있는 전체의 자산 시가의 합계에 이자/배당수입을 더합니다.
(2) 신탁보수 등, 필요한 비용을 제외합니다. 배당이 있는 경우 분배금을 뺀 순자산액을 계산합니다.
(3) (2)에서 계산한 금액을 투자신탁 전체의 기여단위(口数, Unit of Contribution)으로 나눕니다.
투자신탁은 주식이나 채권 등 가격의 변동이 있는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금융상품이므로, 매일 가격이 변합니다. 단 주식과 같이 증권거래소가 열려있는 중에 변하는 것이 아니고 하루 한 번 계산해 발표됩니다. 예를 들어 투자신탁에 투자하고 있는 주식이나 채권이 오후 3시의 가격 (외국 증권의 경우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을 전부 더해서, 거기에서 경비를 신탁 보수 등 경비를 제외해 저녁 6시 즈음 그 날의 표준 가격을 정하는 것입니다.
투자신탁을 배우자
투자신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우자
투자신탁 팜플렛 등을 보면 여러가지 회사 이름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각 회사들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또 투자신탁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요?
1. 투자신탁의 역할 분담
투자신탁은,
판매회사: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의 판매회사에서 판매되고,
위탁회사: 자산은 운용회사에 의해 운용됩니다.
수탁회사: 그리고 그 자산은 신탁은행에 보관/관리 됩니다.
예를 들면, 투자신탁을 셔츠 같은 상품으로 대입해 생각해보면 운용회사는 기획/제조를 하는 메이커, 신탁은행은 창고, 판매회사는 소매점이라고 비유할 수 있습니다.
2. 투자신탁에서 돈의 흐름
이를 돈의 흐름 면에서 생각해봅시다. 투자가가 투자를 한 돈은,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의 판매회사를 경유하여 운용회사에 전해집니다. 운용회사는 그 돈을 신탁은행에 맡긴 다음, 살 주식이나 채권 등을 정해 지시를 내려 신탁은행은 그 대로 매매를 행합니다. 거기서 얻어진 이익은 운용회사에서 모아서 분배금의 형태로 판매회사를 경유해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흐름입니다.
투자신탁의 비용은?
투자신탁을 살 때는 판매회사에 수수료를 내는데, 이외에도 운용 중 비용이나 도로 팔 때 비용이 들기도 합니다. 이는 투자신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어느 타이밍에 얼마만큼 비용이 들지는 확인해둡시다. 여기서는 주식투자신탁의 비용과 세금에 관해 설명합니다.
비용이나 세금은 투자신탁을 살 때, 가지고 있는 동안, 팔 때, 상환할 때 각각 듭니다.
비용은 직접 지불하는 것과, 간접적으로 신탁재산에서 제하는 것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항목 |
내용 |
직접적 |
간접적 |
살 때 |
판매수수료 |
살 때 판매회사에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투자신탁의 경우, 기준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하는 금액이 됩니다. 비율은 투자신탁에 따라 다릅니다. 투자신탁에 따라서는 수수료가 드는 것이 있고, 해약할 때 드는 것이 있습니다. 또, 수수료에는 소비세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따로 듭니다. |
O |
|
모집수수료 |
단위형 투자신탁의 경우, 모집 가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추가형 투자신탁의 경우는 모집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한 금액이 듭니다. 어떤 경우든 모집 수수료에는 소비세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모집수수료와 판매수수료가 동시에 드는 경우는 없습니다.) |
O (추가형) |
O (단위형) |
|
가지고 있을 때 |
신탁보수 |
운용을 위한 비용이나 보수, 자산의 보관, 이익 분배금의 지불, 투자신탁 설명서 작성 등을 위한 비용이 매일 신탁재산에서 빠져나갑니다. 순자산잔고에 일정 비율을 징수하는 투자신탁이 일반적입니다. |
|
O |
감사보수 |
감사를 위한 비용이 매일 투자신탁에서 빠져나갑니다. |
|
O |
|
소득세/주민세 |
수익 분배 시 국내 공모주식투자신탁의 경우 보통 분배금에 대해 소득세 15.315% 및 주민세 5% (합계 20.315%)가 원천징수 됩니다. (신고 불필요) 다만, 특별 분배금은 비과세 처리 됩니다. |
O |
|
|
팔 때 |
신탁재산유보액 |
투자신탁을 중도에 해약할 때 수수료와는 별개로 징수되는 비용입니다. 투자신탁에 따라 징수되는 것과 징수 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
O |
|
소득세/주민세 |
국내 공모주식투자신탁의 경우 이익분에 대해 소득에 15.315% 및 주민세 5% (합계 20.315%)가 징수됩니다. |
O |
|
|
상환할 때 |
소득세/주민세 |
국내 공모주식투자신탁의 경우 이익분에 대해 소득에 15.315% 및 주민세 5% (합계 20.315%)가 징수됩니다. |
O |
|
가지고 있을 때 이득에 대한 세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1) 투자금액에서 이익이 발생했을 때
투자금 9000엔 |
|
분배 후의 기준 가격 10000엔 | >>> 분배금 +1200엔 |
분배 전의 기준 가격 11200엔 |
여기서 분배금 1200엔의 이익이 발생했으므로, 이 분배금에서 20.315%를 제한 956엔을 얻게 됩니다.
(2) 투자금액에서 손실이 발생했을 때
투자금 10500엔 |
|
분배전의 기준 가격 11200엔 |
>>> 분배금 +1200엔 |
분배후의 기준 가격 10000엔 |
이 경우 기준 가격은 500엔 떨어졌는데 분배금은 1200엔을 받았으므로, 분배금 중 500엔은 원래 투자금에 해당하는 금액이므로 특별 분배금으로 인정받아, 이 부분은 비과세가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700엔에 대해서는 보통 분배금이므로 20.315%를 세금으로 제하게 되므로, 전체 1058엔을 얻게 됩니다. 또, 특별 분배금을 수령한 경우 원래 투자 금액에서 수령금액이 제해진, 새로운 투자액 10000엔이 됩니다.
투자신탁의 종류를 알아보자
투자신탁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그 분류를 알면 투자신탁의 특징을 알 수 있습니다.
투자신탁 설명서 표지의 투자신탁 이름 아래에 써있는 작은 단어가 투자신탁의 분류명입니다.
예를 들어 「ニッセイ 日本勝ち組ファンド」에는 추가형투신/국내/주식 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각각을 알아봅시다.
1. 추가형투신이란?
추가 설정이 되는가 되지 않는가를 의미합니다. 주식투자신탁이나 공사채투자신탁은 처음 정해진 기간에만 팔지 않는 단위형과 사고 싶을 때 언제든지 살 수 있는 추가형으로 분류됩니다. 추가형은 오픈형으로 불리기도 하며, 최근 유행하는 상품이기도 합니다.
2. "국내"는 투자대상지역
투자신탁설명서에는 사단법인투자신탁협회에 따른 상품분류와 속성분류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투자신탁설명서의 표지에는, 투자신탁의 투자대상지역에 따라 국내, 해외, 내외(국내 및 해외)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글로벌, 이머징, 일본, 북미, 유럽 등 자세한 사항은 투자신탁설명서 안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3. 이외의 분류
이외에도 Currency hedge(為替ヘッジ: 환율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의 유무나 투자형태나, 분배(결산빈도) 와 설정된 나라에 따라서도 분류됩니다.
- 분배에 따른 분류
최근에는 분배형 투자신탁이 인기가 있습니다. 분배형 투자신탁이란 원칙적으로 투자신탁의 결산일로부터 5일째 (휴일을 포함하지 않음) 이후에 분배금이 지불되는 타입의 투자신탁입니다. 그 빈도는 매월, 격월, 3개월 등 다양합니다. 한편으로 분배금을 지불하지 않는 투자신탁도 있습니다. 분배금을 지불하지 않는 투자신탁의 메리트는 세금 지불을 미룰 수 있는 것입니다. 분배형에서는 결산에 대해 세금이 분배금에서 원천징수되지만, 무분배형에서는 분배가 아예 행해지지 않으므로 분배금에 대한 세금이 징수되지 않습니다.
- 어디서 설정된 투자신탁인가에 따른 분류
국내에서 투자신탁법에 따라 설정되어 운용되고 있는 투자신탁을 국내투자신탁, 국내에서 외국의 법령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투자신탁을 외국 투자신탁이라고 부릅니다. 달러 표기 등 외화 표기나 엔으로 기준가격이 설정됩니다. 또한 외국 투자신탁의 경우 해외의 보관기관에 돈을 맡기므로 구입 및 보유를 위해 외국 증권 구좌 개설이 필요합니다. 국내투자신탁인지, 외국 투자신탁인지는 투자신탁설명서를 확인하면 됩니다.
- 이외의 투자신탁
1) 주식시장의 상장되어 있는 투자신탁
투자신탁 중에는 주식과 마찬가지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것이 있습니다. 사고 파는 방법은 주식의 거래와 같으므로, 보통의 투자신탁과는 다르지만 투자자들의 돈을 모아 투자한다는 것에서는 다를 것이 없습니다.
# ETF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닛케이 평균 가격이나 TOPIX(토쇼가격지수: 한국의 코스피와 같은 지수) 등에 연동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덱스펀드입니다. 주가지수연동형 상장투자신탁이라고도 부릅니다. 보통 주식과 마찬가지로, 거래소가 열려 있는 시간 중 판매의 희망조건이 맞으면 매매가 가능합니다. 주식의 배당금과 같이 투자신탁의 결산에 따라 이익분배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 J-REIT
부동산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은 부당산투자신탁(REIT)라고 합니다. 함께 돈을 내서 빌딩이나 쇼핑몰, 맨션 등에 투자해 임대료를 얻는 상품입니다. 일본의 부동산 투자신탁은 J-REIT라고 불려, 증권거래소에서 주식과 같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도쿄증권거래소에 부동산투자신탁을 상장하는 시장이 2001년 3퉐 개설되었습니다.
2) 지갑 대신 투자신탁
지갑 대신에 적은 금액을 맡기는 것이 가능한 투자신탁으로, MRF(Money Reserve Fund)와 MMF(Money Management Fund)가 있습니다. 이것은 여러분의 저축계좌에 가까운 것으로, 은행예금계좌와 같이 그날 돈을 뽑는 것도 가능하고, 분배금도 나옵니다. 이 둘은 매우 안전한 단기채권을 중심으로 투자를 행하고 있지만, 예금과는 다르게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므로 예금보다 높은 운용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 MRF
주식, 채권, 투자신탁 등의 구입/대금을 받거나 지불하는 등을 목적으로 한 증권종합구좌용의 투자신탁입니다.
# MMF
국내외의 공사채나 CP, CD등의 금융상품을 중심으로 운용하는 투자신탁입니다. 리스크를 적게 하여 안정된 이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언제든지 해약할 수 있으나, 30일 미만의 해약에는 1만엔에 대해 10엔의 신탁재산유보액이 듭니다.
3) 시장의 오르내림에 투자하는 투자신탁
# 블루베어펀드
일본주식, 일본채권, 외국주식, 달러, 유로 등에 투자하는 것으로, 가령 일본 주식의 블루형 투자신탁은 일본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기준가격이 올라가는 투자신탁으로 일본주식의 베어형 투자신탁은 주식시장이 하락했을 때 기준가격이 오르는 투자신탁입니다. 앞으로 시장이 상승할 것이다고 기대할 때는 블루형, 반대는 베어형을 사는 것이 됩니다.
4) 최근 등장한 투자신탁
최근에는 부동산 투자신탁이나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신탁도 늘고 있습니다. 부동산이나 상품은 개별적으로 투자하면 큰 금액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를 투자신탁 형으로 하면 적은 금액으로도 많은 물건이나 상품을 사서, 전문가에게 운용을 맡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주식이나 채권과는 다른 가격 변동 움직임을 보이므로 주식이나 채권과 함께 보유하면 리스크를 낮출 수 있습니다.
# REIT
부동산투자신탁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입니다. 이는 주식과 같이 상장되어 있는 J-REIT와는 다른 것으로 보통의 투자신탁과 같이 1만엔 전후부터 투자할 수 있습니다. J-REIT와는 다르게 간접적으로 더 많은 물건을 살 수 있는 메리트가 있고 해외의 REIT에도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 Commodity Fund
상품에 투자하는 투자신탁은 Commodity fund라고 불리는데 그 성과는 상품선물지수의 가격변동에 따라 변화합니다. 상품선물업자가 판매하고 있는 상품 펀드는, 그 원리나 관리되는 법률이 각각 다릅니다. 그러나 투자신탁으로 투자하면 소액으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인플레이션에 강한 상품은, 상품가격의 상승(원유 가격의 상승 등)이나 물가상승의 국면에서 주목을 모으고 있는 투자신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