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테크 이야기/세금과 절세

[절세 Tip] 후루사토 납세로 세금 공제 받기

sophieintokyo 2024. 8. 22. 19:19

작년 중순부터 이번 달까지 저희 집은 마트에 가서 장을 보는 횟수를 많이 줄였는데요. 그게 가능했던 이유는 후루사토 납세 덕분이었습니다. 매달 쌀 5kg, 계란 30개, 제철 야채 한 박스를 집으로 보내주는 답례품으로 후루사토 납세를 신청했거든요.

 

후루사토 납세란?

후루사토 납세(ふるさと納税)는 일본의 독특한 세금 제도로, 자신이 응원하고 싶은 지자체에 기부를 하면 그 금액에 대해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 제도는 지방 자치단체의 재정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기부자는 세금 공제 외에도 다양한 답례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자기가 원하는 답례품을 주는 지자체에 기부를 하면 기부 다음 년도에 기부 금액에서 자기 부담액 2000엔을 제외한 금액이 세금에서 공제가 됩니다. 답례품도 얻고 공제도 받고, 일석이조인 셈이죠 😄

 

후루사토 납세가 가능한 금액은?

그러면 후루사토 납세가 무제한 가능할까요? 당연히 아니겠죠 😅

본인이 내는 세금보다 더 많이 공제를 받는건 불가능하니까요.

기부할 수 있는 금액은 개인의 소득과 가족 구성원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봉이 높으면 당연히 세금도 많이 내기 때문에 기부 상한 금액도 늘어납니다.

 

기부 상한액을 확인하는 방법?

👉 라쿠텐 후루사토 납세에서 확인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대략 얼마정도 기부를 할 수 있는지 간단버전으로 알아봅니다. 연수입과 가족 구성, 부양가족 숫자를 넣고 확인을 누릅니다. 저는 대강 700만엔으로 넣었고 기혼, 자녀가 한 명 있어서 넣어보니 11만엔 정도 기부할 수 있는 것으로 나옵니다.

 

만약 한국에 부양가족을 등록해뒀다면 어떻게 될까요? 23세 이상의 성인 부양가족 두 명을 추가해봅니다.

🖐️ 부양가족이 뭔가요? 👉 부양가족 등록하고 절세하기 https://tokyo-saving.tistory.com/11

 

 

이미 부양가족을 등록해서 그만큼 공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기부상한액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간단버전으로 대충 얼마 정도의 기부 상한액이 되는지 알 수 있지만, 상세버전을 통해 기부상한액을 계산할 필요가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 내 집을 마련한 사람: 주택론 공제, 지진보험료 공제 등을 받기 때문에
  • 부동산 소득이나 주식 등으로 배당을 받는 사람: 부동산소득, 배당소득, 기타소득으로 월급보다 세금이 많기 때문에 기부 상한액도 올라감
  • 의료비공제를 받는 사람: 1년 동안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의료비가 10만엔을 넘었을 때 공제를 받기 때문에

이런 분들은 꼭 상세버전으로 계산해보세요.

 

후루사토 납세 주의할 점은?

🖐️ 기부 상한액을 초과한 금액은 세금 공제가 되지 않습니다!

 

후루사토 납세로 받는 상품들은 기부한 금액의 30% 내외 정도의 가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만엔을 기부해서 두루말이 휴지를 받았다고 해봅시다. 휴지의 가격은 6천엔 정도 (2만엔 * 0.6) 가 될 텐데요. 사실 같은 양을 드럭스토어에서 산다면 더 저렴하게 살 수 있습니다. 😅 그럼에도 후루사토 납세를 하는 이유는 실질적으로 2천엔만 부담하면서 답례품을 얻는다는 장점 때문이겠지요.

 

이제는 일본 사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하고 있을 후루사토 납세, 혹시 처음 들으신다면 올해부터 시작해보시는 건 어떨까요?